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Check Expert+] Check Expert 리뷰 : 기본적인 기능부터 꼼꼼하게!

안녕하세요. 엄청 오랜만입니다. 일을 하느라 바쁘다는 핑계로 티스토리 관리를 소홀히 해왔습니다.

그런데 최근 제 글을 보고 도움이 되었다는 분의 감사 인사를 보니깐 스스로 반성도 하게 되고, 티스토리에 같이 나누고 싶은 정보들을 공유하는 것을 게을리하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시작합니다.  Check Expert+ 리뷰!

 

1. Check Expert+란 뭘까요?

Check Expert+ 홈페이지 메인 화면

공식 홈페이지 소개(check.co.kr)에서는 KOSCOM이 제공하는 한국 증권시장 대표 전문 투자분석용 종합금융정보 서비스라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회사측에서는 최고 수준의 속도, 정확성, 빅데이터를 이용한 통합검색 등을 강점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저도 써보면서 회사 측에서 소개하는 부분들에 대해 어느정도 공감했습니다. 그리고 그 중에서도 특히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기능들을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2. 유용하게 쓰는 기능 소개

(1) 세계지수종합, 일중추이

세계지수종합(1002), 일중추이(1933)

각각 출근하면 제일 먼저 보는 창과 장중에 가장 많이 보는 창입니다.

우선 세계지수종합(화면번호 1002)의 경우, 한국과 미국(S&P500, 나스닥100) 뿐만 아니라 니케이 225, 대만 TWI, 항셍, 상해, 인도, 호주 등 다양한 국가들의 증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해줍니다. 그 외에도 원유, 국고채, 회사채, CD, 달러, 엔, 유로 등 원자재, 채권, 외환 등의 가격 추이까지 파악할 수 있어 전반적으로 시장의 센티나 방향성을 파악하는데 매우 큰 도움이 되는 화면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 다음으로 일중추이(화면번호 1933)의 경우, 장중 기관, 외국인, 개인의 전반적인 자금흐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특장점이라고 하면 30초 단위로 빠르게 업데이트되어 흐름을 놓치지 않고 실시간으로 따라갈 수 있다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물론 이것만 쳐다봐도 너무 재밌어서 가끔 일을 못할 때가 있습니다. 

 

(2) 시장지도, 시세표

시장지도(1146), 시세표(1443)

전반적인 일간 증시 방향성을 본 다음에는 섹터별, 종목별 추이를 보면 되겠죠? 저도 그렇게 이용합니다. 시장지도(1146)에서는 섹터별 비중과 수익률을 사각형의 넓이와 색깔로 표현해 한눈에 쓱 봐도 이해될 수 있게 표현합니다. 해당 네모박스 생각은 누가 했는지 모르지만 참 이해가 잘 되게 만들어놓은 것 같아요.

시세표(화면번호 1443)는 ETF들의 일중 변화, 거래량, 거래대금 등을 한눈에 파악하기 좋습니다. 섹터에 대한 전반적인 그림을 시장지도를 통해 봤다면, 실제 숫자는 어떻게 움직이는가에 대한 참고지표로서 ETF들의 움직임을 보곤 합니다. 지표마다 담는 방식이 다르지만, 대체로 많은 ETF들이 유동시총방식으로 담다보니 섹터, 테마들의 방향성을 보기 좋은 것 같더라구요.

 

(3)현재가, 종목대차

현재가(1300), 대차(1820)

섹터를 보았다면 개별주를 볼 차례입니다. 현재가(화면번호 1300)는 워낙 중요하고 많이 찾는 기능이다 보니 HTS랑 큰 차이는 없는듯 합니다. 그렇다면 무엇이 특별히 좋은가. Check Expert+에서는 종목 대차/신용/공매도 등을 한눈에 보면서 개별종목들에 대한 투자 컨센서스나 방향성을 파악하기 편리한 것 같습니다. 물론 전반적인 데이터는 HTS를 통해서 제공받을 수도 있겠지만, 실시간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받아볼 수 있다는 점은 큰 메리트인 것 같습니다.

 

(4)거래증가상위, 기간비교등락률

거래증가상위(1563), 기간비교등락률(1558)

이 기능은 제가 요즘 많이 쓰지는 않지만 한창 주식 공부할 때 있었으면 참 좋았을텐데 하는 기능입니다. 자신이 원하는 기간 내에서 거래량 증가, 가격 등락을 순위로 나열해 파악할 수 있습니다. HTS에서는 여러번 수식을 입혀서 원하는 조건으로 검색했어야 했는데, 여기선 몇번 클릭만으로도 한눈에 볼 수 있으니 좋네요...ㅎㅎ

 

(5) 종합뉴스, 세계경제지표

종합뉴스(6106), 세계경제지표(6315)

실시간으로 뜨는 뉴스들을 받아보기 좋은 종합뉴스와 세계경제지표입니다. 뉴스는 일간신문으로 따로 보긴 하지만, 실시간으로 챙겨보는 것도 하나쯤 있으면 좋을 것 같아서 띄워놓습니다. 세계경제지표는 음... 신문에서 나오는 지표들을 진짜 맞는지 보려고 찾는데 보통 씁니다ㅋㅋ. 가방끈이 그렇게 길지 않은지라 사실 이렇게 많은 지표를 보더라도 까막눈이구요 익숙한 가격지수, 생산자지수, 경기지수 등만 보면서 대충 이렇구나 파악합니다. 하지만 아는 만큼 보인다고, 더 많이 배우고 공부하면 저 지표들도 유용하게 쓸 날이 언젠가 오겠죠..?ㅎㅎ;

 

(6) 차트

신종합차트(8112)

HTS의 꽃(?)은 차트라고 생각합니다. 주식에 입문하던 시절에 호가창 깜빡깜빡하고 차트 하나 띄워놓으면 전문가가 된 것 같은 환상이 있어서 차트를 잘 볼준 모르지만 역시 하나 띄워놓습니다ㅋㅋ. 각종 지표, 유형, 매매전략, 검색식 등 HTS상에서 구현하고 있는 차트 기능들은 다 쓸 수 있는 것 같구요, 아까 말씀드렸듯이 차트를 딥하게 공부하지 않아서 구체적으로 어떤 점이 더 좋고 나쁜가를 비교하긴 어려울 것 같습니다. 다만 제가 찾고자 하는 어지간한 기능들은 다 있었다는 말은 전해드리고 싶습니다ㅎㅎ.

 

(7) ETF 현재가, PDF

현재가(1440), PDF(1448)

요새 자산배분의 수단으로써 ETF가 핫한데요... 저도 책 몇권 읽고 궁금해서 Check Expert+에서 관련 기능들을 찾아보았습니다. 정말 잘되어있고 편해요ㅎㅎ. 현재가(1440)에서는 가격 외에도 종목정보를 통해 상장일, 과표기준가, 기초지수, 기준통화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거 하나하나 홈페이지에서 찾아보려면 한세월인데 클릭 몇번으로 구현가능해서 너무 편합니다. 

PDF는 ETF 1단위(CU) 바스켓 안에 담겨있는 구성종목들 현황입니다. TIGER200같이 KOSPI200을 추종하면 대충 뭐가 얼마나 들어있는지 알겠지만, 요새 핫한 TIGER부동산인프라고배당같은 거엔 뭐가 들었는지 잘 모를때 PDF 내역만 몇번 클릭해보면 나옵니다. 이것도 종목별로 비교하려면 회사마다 들어가야해서 복잡한데 체크를 통해 한번에 해결하니깐 편하네요.

그 외에도 ETF에서 중요한 LP들이 호가를 어떻게 제시하는지도 명료하게 파악할 수 있어서 거래시 로스를 줄일 수 있는 것도 또하나의 장점으로 꼽고 싶습니다.

ETF 분석을 용이하게 해주는 툴은 충분하니 제가 공부할 일만 남은 것 같습니다. (도구 탓은 못하겠군요...)

 

(8) 지표TREE, 국내통계

지표TREE(2701), 한국은행 통계(2708)

이 기능은 찾아보고 좀 감동받았습니다. 지표트리(2701)에서는 온갖 지표를 그래프로 표현해놨습니다. 금리, 물가, 경기 뿐만 아니라 인구, 산업, 부동산, 무역수지 등 매크로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데 도움을 주는 지표들을 따로 찾아보지 않고도 손쉽게 볼 수 있도록 구현해놨습니다. 구글링해서 나오는 자료가 아니라 왠지 믿음이 가는 공식 프로그램에서 정리한 자료다보니 알게모르게 생기는 신뢰도는 덤입니다.

한국은행 통계(2708)는 이를 보조하는 역할입니다. 국내외 전반적인 통계를 넘어서 국내의 자세한 통계가 궁금할 때는 해당 자료를 이용합니다. 그리고 그냥 숫자만 봐도 재밌는 통계들이 많아서 종종 들어가서 몇개 눌러보기도 재밌습니다ㅋ.

 

 

지금까지 제가 유용하게 쓰는 Check Expert+의 기능들을 소개해보았습니다. 사실 저도 이 프로그램을 온전히 100% 이용하는게 아니라서(한 5%정도 쓰는 것 같아요 하하) 상승여력 20배짜리 종목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좀 더 공부해보면서 이것저것 클릭하다보면 우연히 또 배워가는게 있을까 생각이 듭니다ㅋㅋ. 다음 포스팅에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